개발자가 문서작업을 할 때 가장 많이 쓰는 언어
Markdown은 텍스트 기반의 마크업언어로 2004년 존그루버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쉽게 쓰고 읽을 수 있으며 HTML로 변환이 가능하다.
특수기호와 문자를 이용한 매우 간단한 구조의 문법을 사용하여 웹에서도 보다 빠르게 컨텐츠를 작성,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마크다운이 최근 각광받기 시작한 이유는 깃헙(https://github.com) 덕분이다.
깃헙의 저장소Repository에 관한 정보를 기록하는 README.md는 깃헙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마크다운 문서였다.
마크다운을 통해서 설치방법, 소스코드 설명, 이슈 등을 간단하게 기록하고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는 강점이 부각되면서 점점 여러 곳으로 퍼져가게 된다.
장점
1. 간결하다.
2. 별도의 도구없이 작성가능.
3. 다양한 형태로 변환이 가능.
4. 텍스트(Text)로 저장되기 때문에 용량이 적어 보관이 용이.
5. 텍스트파일이기 때문에 버전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변경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6. 지원하는 프로그램과 플랫폼이 다양하다.
단점
1. 표준이 없다.
2. 표준이 없기 때문에 도구에 따라서 변환방식이나 생성물이 다르다.
3. 모든 HTML 마크업을 대신하지 못한다.
제목은 #으로 달 수 있으며, #의 개수에 따라 제목의 크기가 달라짐.
# This is a H1
## This is a H2
### This is a H3
#### This is a H4
##### This is a H5
###### This is a H6
single asterisks : *single asterisks*
single underscores : _single underscores_
double asterisks : **double asterisks**
double underscores : __double underscores__cancelline : ~~cancelline~~
줄바꿈을 하기 위해서는 문장 마지막에서 2칸 이상을 띄어쓰기해야 한다.
Git 명령어들
- init : 로컬 디렉토리를 새로운 Git 저장소로 만듬.
- status : Git이 추적하고 있는 로컬 저장소의 변화를 보여줌.
- add : Git 저장소의 변화를 기록하기 위한 준비 단계.
- commit : 특정 순간의 버전을 스냅샷처럼 기록.
- push : 로컬 저장소의 파일과 버전 기록을 원격 저장소로 전송.
- clone : GitHub의 원격 저장소를 로컬 저장소에 통째로 가져옴.
- pull : 로컬 저장소의 버전을 원격 저장소와 같게 업데이트함.
'데이터 분석가:Applied Data Analytics > 용어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워드 광고란? (1) | 2025.01.15 |
---|---|
퍼포먼스 마케팅(Performance Marketing)이란? (0) | 2025.01.15 |
마케팅 캠페인이란? (1) | 2025.01.15 |
젤리빈 실험(Jelly Bean Counting Experiment) (0) | 2025.01.09 |
GitHub란 (0)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