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과 통계에서 자주 사용되는 개념으로, **추측과 통계적 오차, 그리고 집단의 평균적인 지혜(집단 지성)**를 이해하기 위한 간단한 실험입니다. 예를 들면
실험의 핵심 아이디어
- 질문: "이 병 안에 몇 개의 젤리빈이 있을까요?"
- 목적: 사람들이 얼마나 정확하게 숫자를 추측할 수 있는지, 개별적인 오차와 집단의 평균 추측이 얼마나 다른지 알아보는 것입니다.
실험 방법
- 젤리빈 병 준비:
- 투명한 병에 젤리빈을 가득 채웁니다. 예를 들어, 병 안에 젤리빈이 237개 있다고 가정합니다.
- 추측 요청:
- 여러 사람(예: 20명)에게 병을 보여주고, 젤리빈의 개수를 추측하도록 요청합니다.
- 각 사람이 추측한 숫자를 적어냅니다.
- 데이터 수집:
- 사람들이 추측한 숫자를 수집하여 평균을 계산합니다.
결과 분석
- 개별 오차:
- 사람들은 종종 정확한 숫자를 추측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 20명이 추측한 결과: 150, 200, 250, 300, 180, 220, 260...
- 사람들은 종종 정확한 숫자를 추측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 평균 계산:
- 모든 추측을 더한 후, 추측한 사람 수로 나눠 평균을 구합니다.
- 예를 들어:
- 추측값: 150, 200, 250, 300, 180, 220, 260...
- 평균 추측값: 237개.
- 집단 지성:
- 개별적인 추측은 틀릴 수 있지만, 여러 사람의 평균 추측값은 실제 숫자에 가까운 경우가 많습니다.
- 예를 들어, 병 안의 실제 젤리빈 개수가 237개라면, 평균값이 235~240 사이에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실험의 의미
- 개인적인 오차: 개별적으로 추측한 값은 편향되거나 크게 틀릴 수 있습니다.
- 집단의 평균: 여러 사람이 추측한 값을 평균내면, 실제 값에 가까워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를 집단 지성 또는 평균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 실제 응용: 이 개념은 시장 조사, 경매, 군중의 예측 등을 이해하는 데 유용합니다.
- 사람들이 상품의 적정 가격을 추측하면, 평균값이 실제 시장 가격과 비슷하게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 군중의 힘: 많은 사람의 의견을 모으면,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실험은 숫자를 추측하는 단순한 활동처럼 보이지만, 통계학, 심리학,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 분석가:Applied Data Analytics > 용어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워드 광고란? (1) | 2025.01.15 |
---|---|
퍼포먼스 마케팅(Performance Marketing)이란? (0) | 2025.01.15 |
마케팅 캠페인이란? (1) | 2025.01.15 |
마크다운 (0) | 2025.01.06 |
GitHub란 (0) | 2025.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