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코렙에서 작성한 파일을 CSV로 저장하여 100MB이상이므로 구글스토리지에 올려서 빅쿼리에 연결하고 Json키를 만들어서
클라우스 슈퍼셋에 연동한 뒤 위에 화면처럼 선택이 가능합니다. 구글코렙 ~ Json키 발급하고 클라우스슈퍼셋 연동까지는
https://nesaram-health-1story.tistory.com/319 이글을 참고하세요.
1. 코호트 재방문 추이 (Line Chart)
Colab 코드
Superset 구현
- Chart Type: Line Chart
- X-axis: days_since_first_visit
- Metrics: COUNT_DISTINCT(fullVisitorId) → Label: n_users
- Dimensions (Group by): first_visit_date
- 이 설정은 지금 이미지에서 정확히 잘 되어 있음
결과: 각 first_visit_date별로 선 그래프가 그려지고, X축은 첫 방문 이후 며칠이 지났는지를 나타냄
2. 전체 방문 횟수 분포 (히스토그램)
Colab 코드
Superset 구현
- Chart Type: Histogram 또는 Bar Chart (Histogram이 없으면 Bar Chart로 유사 구현)
- X-axis: totalVisits
- Metrics: COUNT(*)
- Bins: Superset 기본 Histogram chart에서는 bin 수 조절 가능 (없으면 Bar Chart로 정렬해서 표현)
절차:
- Charts > + Chart > Dataset: train_final
- Chart Type: Bar Chart
- Dimensions: totalVisits (또는 bin 만들고 그걸 group by)
- Metrics: COUNT(*)
- Sort by: totalVisits
3. 디바이스 카테고리 분포
Colab 코드
Superset 구현
- Chart Type: Bar Chart
- Dimension: deviceCategory
- Metrics: COUNT(*)
- Sort by: 값 내림차순 (Descending)
4. 상위 운영체제 분포
Colab 코드
Superset 구현
- Chart Type: Bar Chart
- Dimension: operatingSystem
- Metrics: COUNT(*)
- Row Limit: 10
- Sort by: COUNT DESC
5. 상위 브라우저 분포
Colab 코드
Superset 구현
- Chart Type: Bar Chart
- Dimension: browser
- Metrics: COUNT(*)
- Row Limit: 10
- Sort by: COUNT DESC
6. 시각화 정리 표
코호트 재방문 추이 | Line Chart | days_since_first_visit | COUNT_DISTINCT(visitor) | Group by: first_visit_date |
전체 방문횟수 분포 | Histogram 또는 Bar | totalVisits | COUNT(*) | |
디바이스 카테고리 분포 | Bar Chart | deviceCategory | COUNT(*) | Sort: 값 기준 내림차순 |
상위 운영체제 | Bar Chart | operatingSystem | COUNT(*) | Row limit 10, Sort DESC |
상위 브라우저 | Bar Chart | browser | COUNT(*) | Row limit 10, Sort DESC |
이제 Superset에서도 Colab에서 그린 EDA 시각화처럼 그대로 만들 수 있다
Superset 대시보드에 이미지 넣는 방법
1. 대시보드 편집 모드로 진입
- 상단 메뉴에서 Dashboards → 원하는 대시보드 클릭
- 오른쪽 상단 ... (더보기) 클릭 → Edit dashboard 선택
2. Markdown 컴포넌트 추가
- 왼쪽 컴포넌트 목록에서 Markdown을 클릭한 후
-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해서 놓기
3. 이미지 삽입 코드 작성 (Markdown 문법 사용)
Markdown 영역에 아래와 같이 입력:
또는 클릭 가능한 이미지로 만들고 싶다면:
이미지 URL은 반드시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이미지 주소여야 해 (예: Imgur, GitHub 이미지 링크 등)
4. 저장
- Markdown 블록 아래 Save 버튼 클릭
- 전체 대시보드 우측 상단의 Save 클릭하여 변경 내용 저장
이미지가 없거나 직접 올리고 싶다면?
Superset 자체에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기능은 없기 때문에 다음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해야 해:
- Imgur 같은 이미지 호스팅 서비스 사용
- imgur.com에서 이미지 업로드 후 링크 복사
- GitHub에 이미지 업로드 후 raw 링크 사용
- raw.githubusercontent.com 경로 사용
- 자신의 서버나 Notion 이미지 링크 활용
- 단,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링크여야 함
예시
이렇게 넣으면 분석 흐름도, 시각화 구조, 로고, 참고 그래프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어서 발표나 설명 때 유용해.
Notion 페이지를 Superset 대시보드에 표시하는 2가지 방법
1. Notion 페이지 링크를 Markdown에 삽입 (간단한 방법)
방법
- Notion 페이지에서 공유 → 웹에서 보기 허용 활성화
- 공개 링크 복사
- Superset 대시보드에서 Markdown 컴포넌트를 추가하고 아래처럼 입력:
또는
결과
- 클릭 가능한 텍스트 링크로 표시됨
- 클릭 시 새 탭에서 Notion 페이지 열림
2. **Notion 페이지를 Superset 대시보드에 iFrame으로 삽입 (일부 환경에서만 가능)
이 방법은 Superset 배포 설정에 따라 막혀 있을 수 있음. Preset 클라우드 버전에서는 보안 상 제한되어 iFrame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
방법
대부분 Superset에서는 Markdown에서 <iframe> 태그는 비활성화되거나 필터링됨.
실무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방법
공개된 Notion 페이지 링크를 Markdown에 하이퍼링크로 연결하는 방식
이 방식은:
- 클릭으로 바로 이동 가능
- Superset 대시보드에 설명 자료를 연결하는 데 유용
추가 팁
Notion 페이지의 내용을 이미지로 캡처해서 Superset에 삽입하고 싶다면:
- Notion 내용 화면 캡처
- Imgur 등 이미지 업로드 사이트에 올림
- 이미지 URL을 Markdown에 삽입
1. GitHub에 이미지 업로드
방법 A: 웹에서 직접 업로드
- https://github.com 로그인
- public repository 하나 생성 (예: superset-assets)
- Add file → Upload files 클릭
- 이미지 파일(.png, .jpg) 선택해서 업로드
- Commit changes 버튼 클릭
2. Raw 이미지 링크 복사
- 업로드된 이미지 클릭
- 이미지가 열리면 오른쪽 상단 "Download" 옆의 "Raw" 클릭
- 브라우저에 열린 이미지 주소를 복사
(보통 다음처럼 생김)
3. Superset Markdown 컴포넌트에 삽입
대시보드 편집 > Layout elements > Markdown 컴포넌트 드래그해서 추가한 뒤 아래처럼 입력
또는 제목과 함께 사용하고 싶다면:
실제 예시
위처럼 하면 Superset 대시보드에 이미지가 바로 표시돼.
보안 참고
- GitHub public repo에 올리면 누구나 해당 이미지를 볼 수 있음
- 민감한 정보가 담긴 이미지일 경우 업로드 주의 필요
마무리
이제 Superset에서 Markdown을 이용해 깃허브 이미지 불러오는 방법까지 완벽하게 알게 됐어.
필요하면:
- GitHub repo 생성 도움
- 업로드 예시
- Markdown 코드 자동 완성 도와줄게
이미지를 올릴 준비가 됐으면, 깃허브 링크만 보내주면 바로 사용 코드 만들어줄게.
Superset에 넣을 GitHub Raw 이미지 URL 얻는 법
현재 화면에서 해야 할 일
- 이미지 클릭 완료 상태 (지금처럼 Looker-EDA01.png 화면에 있음)
- 이미지 오른쪽 위에 보면 아래와 같은 아이콘이 있어:
- Download (⬇)
- 그 옆에 Raw 버튼 (네모 + 화살표 아이콘 모양)
- Raw 버튼 클릭
→ 이미지가 새 탭에서 단독으로 열림 - 그 새 탭의 주소(URL)를 복사
- 예시:
Superset Markdown에 사용하는 방법
복사한 주소를 아래처럼 Superset Markdown 컴포넌트에 삽입:
이렇게 하면 Superset 대시보드에 이미지가 직접 표시됨.
다시 정확하게 말하면 
여러 이미지 넣고 싶다면
Markdown 안에 여러 줄로 이미지 넣을 수도 있어:
Superset에서 대시보드를 JSON으로 Export하는 방법
1. Superset에 로그인
- Preset 클라우드(또는 자체 Superset 서버)에 로그인합니다.
2. 대시보드 목록으로 이동
- 왼쪽 사이드바 메뉴에서
Dashboards 클릭
3. Export할 대시보드 선택
- 리스트에서 원하는 대시보드를 찾습니다
- 해당 대시보드 왼쪽 체크박스 클릭
4. Export 메뉴 실행
- 상단 메뉴 바에서 ⋮ Actions 버튼 클릭
- Export 선택
5. 파일 다운로드
- .json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됩니다
(예: dashboard_export_2025_04_13_123456.json)
'데이터 분석가:Applied Data Analytics > 데이터 시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슈퍼셋 보고서 작성 발표요약 (0) | 2025.04.14 |
---|---|
Heatmap 차트 (Retention Matrix) - 클라우드슈퍼셋 시각화 (0) | 2025.04.13 |
데이터 웨어하우스에 업로드한 후 Looker와 연결후 시각화 (0) | 2025.04.09 |
Sankey 차트를 LTV 시각화에 사용하는 이유 (0) | 2025.04.09 |
Superset 클라우드 시각화 2nd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