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edule analyst

MCX기법에 의한 공기단축 공정관리/사업관리 / 건축

데이터분석 2025. 2. 19. 22:17
320x100
728x90

MCX는
① MCX는 각 요소작업의 공기 대 비용의 관계를 조사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공기를 단축기 위한 기법으로 CPM(Critical Path Method)의 핵심이론이다.

② 각 단위작업의 공기 대 비용의 관계를 조사하여 최소의 비용으로 공기를 단축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절차는 우선 주공정(CP, Critical Path)상의 단위작업 중 비용구배(cost slope)가 가장 작은 단위작업부터 단축해 가며 이로 인해 변경되는 주공정 경로를 따라 단축할 단위작업을 결정한다.

[출처] MCX는|작성자 승현재현



이방법외에 대표적인 공정관리에서 공기단축을 하는 방법으로는 두가지 가 있으며

1st. Crashing(공정압축법) 단축 일부일정에 리소스(비용, 인력, 장비 외 자원)을 투입하여 공정을 단축하는 기법으로 이방법은 추가자원이 있을때 활용가능하며 일정단축에 효과가 있으나 리소스투입에 대한 원가Cost가 증가 및 리스크가 증가할 수 있다.

2nd. Fast Tracking(공정중첩법) : 대부분의 공사진행중 공종 상호간에 작업일정의 수정으로 인한 중첩방법으로 리소스에 대한 Cost의 투입이  아니므로 비용의 증가는 없다 단지 단점은 상호공종의 철저한 검토없이는 선후행의 일정이 변경되므로 Rework의 재작업의 단점이 있으며 품질리스크(Quality risk)가 증가된다.

또한 위의 방법으로 일정단축의 효과가 있으려면 해당적용하는 Activity들은 CP상의 활동들이어야 일정 단축의 효과가 있다.



자원최적화



Resource Leveling(자원 평준화)

CP상의 활동에 자원제약이 있는 희소자원을 먼저 할당하는경우

Non-CP상의 활동ㅇ에 CP상의 활동으로 자원을 재할당하는것이 일반적임

Resource Smoothing(자원평활화)

미리정해진 자원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활동들을 조정하는 기법

모든 자원을 최적화시키지는 못함(Free Float과 Total Float내에서 만 조정)

CP는 변하지 않고 완료일자도 변하지 않을 수 있음.


공정관리에서 Resource Leveling(자원 평준화)과 Resource Smoothing(자원 평활화)는 프로젝트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기법입니다.

1. Resource Leveling(자원 평준화)

자원의 한계를 고려하여 일정 조정

(1) 개념

  • 프로젝트 일정이 주어진 상태에서 자원 가용량의 한계를 고려하여 일정 자체를 조정하는 방법
  • 특정 시점에 자원이 초과되면 작업을 지연시키거나 순서를 조정하여 자원의 부담을 균등하게 만듦

(2) 특징

  • 자원의 사용량이 일정하도록 조정됨
  • 일정이 지연될 수 있음 (프로젝트 완료일 변경 가능)
  • 주어진 자원으로 최대한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

(3) 적용 사례

  • 작업에 필요한 인력이나 장비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
  • 특정 시점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을 조정할 때

(4) 예시

  • 한 프로젝트에서 5명의 작업자가 필요하지만 특정 주에는 3명밖에 배치할 수 없는 경우, 작업 일정을 조정하여 3명으로도 수행할 수 있도록 배분

2. Resource Smoothing(자원 평활화)

일정 변경 없이 자원 배분 조정

(1) 개념

  • 프로젝트 일정(완료일)이 고정된 상태에서 자원의 사용량이 급격히 변하지 않도록 균등하게 조정하는 방법
  • 여유 시간이 있는 작업을 조정하여 자원 사용의 변동성을 줄임

(2) 특징

  • 프로젝트 일정은 변경되지 않음 (완료일 유지)
  • 부하가 큰 시점에서 일부 작업을 조정하여 자원 사용을 일정하게 함
  • 가능하면 자원 초과 없이 균등하게 분배

(3) 적용 사례

  • 일정 변경이 불가능한 프로젝트에서 자원 활용도를 높이고 부하를 줄이기 위해 사용
  • 자원의 피로도 관리 및 생산성 유지가 중요한 경우

(4) 예시

  • 특정 주에 작업량이 몰리지 않도록, 여유 시간이 있는 작업을 앞당기거나 늦춰서 자원의 부담을 일정하게 조정

3. Resource Leveling vs Resource Smoothing 비교

구분  /  Resource Leveling(자원 평준화)  /  Resource Smoothing(자원 평활화)

목적 자원의 가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 자원의 사용량을 균등하게 분배
일정 변경 여부 일정이 지연될 수 있음 (완료일 변경 가능) 일정 변경 없음 (완료일 유지)
작업 조정 방법 작업을 지연시키거나 재배치 여유 시간이 있는 작업을 조정
적용 사례 자원이 제한된 프로젝트 일정이 고정된 프로젝트에서 자원 부담 최소화

 


4. 요약

  1. Resource Leveling(자원 평준화): 일정 자체를 조정하여 자원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함 → 일정 변경 가능
  2. Resource Smoothing(자원 평활화): 일정 변경 없이 자원의 사용량을 균등하게 조정 → 일정 변경 없음

정리하면,

  • Resource Leveling은 "자원 부족하면 일정을 늘려서 조정"
  • Resource Smoothing은 "일정 변경 없이 자원을 골고루 분배"

이 두 개념을 명확히 구분하고 활용하면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출처] PMP 일정관리 중 작성자 본인 및 검색

데이터로 가치를 만드는 Steven, Follow on LinkedIn

'Schedule analys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마베라(Primavera) P6  (1) 2025.04.12
공정관리와 IT직군 연관성  (0) 2025.02.28
공정관리 vs 생산관리  (0) 2025.02.20
공정관리를 생각나게 하는 영화  (0) 2025.02.19
C.P.M vs C.C.M  (0) 2025.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