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가:Applied Data Analytics

데이터 시각화, 태블로

데이터분석 2025. 3. 21. 11:09
목적 추천 차트 유형 구성 요소 비율/비교(범주형) 누적 막대 차트 두 변수 간 관계(연속형) 분산형(산점도) 차트

누적 막대 차트(Stacked Bar Chart)는 두 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 다음과 같이 기억하세요:

1. 누적 막대 차트의 주된 용도

  • 전체 대비 각 구성 요소의 비율(상대적 비중)을 시각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 시간이나 그룹에 따른 비율의 변화나 구성요소 간 비교를 확인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2. 두 변수 간 관계를 표현하는 데는 부적합한 이유

  • 누적 막대 차트는 한 변수의 세부 구성을 보여줄 뿐, 두 연속형 변수의 상관관계나 경향성을 나타낼 수 없습니다.
  • 두 변수의 상관관계를 명확히 보여주는 데는 **산점도(분산형 차트)**가 가장 적합합니다.

3. 두 변수 간 관계 표현에 적합한 차트

  • 산점도(분산형 차트): 두 연속형 변수 간의 관계를 표현할 때 가장 직관적이고 효과적입니다.
  • 상관관계가 명확하게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목적 추천 차트 유형
구성 요소 비율/비교(범주형) 누적 막대 차트
두 변수 간 관계(연속형) 분산형(산점도) 차트

 

따라서, 두 변수의 관계는 누적 막대 차트가 아닌 분산형 차트로 나타내야한다.


태블로(Tableau)에서 도넛 차트(Donut Chart)를 사용하기 적합한 경우

1. 구성 비율을 강조할 때

  • 전체에서 특정 구성 요소가 차지하는 비율(%)을 명확히 보여줄 때 효과적입니다.
  • 특히 구성 항목의 개수가 적고, 각 항목의 비중 차이가 명확할 때 적합합니다.

2. 카테고리 수가 적을 때

  • 구성 요소가 많으면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최대 5개 이하의 카테고리를 권장합니다.
  • 카테고리가 많으면 바 차트나 트리맵이 더 적합합니다.

3. 미적·시각적 강조가 필요할 때

  • 일반적인 파이 차트보다 시각적으로 더 깔끔하고 미적으로 우수합니다.
  • 가운데 빈 공간에 주요 지표나 수치를 강조하여 표현할 수 있어 눈에 잘 들어옵니다.

4. KPI나 핵심 수치를 강조할 때

  • 도넛의 중심 공간에 중요 수치, 백분율, 총합 등을 배치하여 강조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성과지표(KPI) 대시보드에서 한눈에 핵심 정보를 전달할 때 유리합니다.

도넛 차트를 피해야 하는 경우

  • 구성 요소의 개수가 5개 이상으로 복잡한 경우
  • 미세한 비율 차이를 정밀하게 비교해야 하는 경우
  •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를 보여줄 때 (라인, 영역 차트 권장)

결론적으로, 구성 요소가 적고 명확한 비율 비교가 필요한 경우에 도넛 차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